회귀 알고리즘과 모델 규제
3-1 K-최근접 이웃 회귀
주제: 농어의 길이를 이용한 무게 예측
목차
1. 데이터 처리
2. 학습및 평가 3. 과대적합과 과소적합
데이터 처리
농어의 길이를 이용해 농어의 무게를 예측해야 하므로 다음은 농어의 길이 데이터와 무게 데이터를 가져왔습니다.
import numpy as np
perch_length = np.array([8.4, 13.7, 15.0, 16.2, 17.4, 18.0, 18.7, 19.0, 19.6, 20.0, 21.0,
21.0, 21.0, 21.3, 22.0, 22.0, 22.0, 22.0, 22.0, 22.5, 22.5, 22.7,
23.0, 23.5, 24.0, 24.0, 24.6, 25.0, 25.6, 26.5, 27.3, 27.5, 27.5,
27.5, 28.0, 28.7, 30.0, 32.8, 34.5, 35.0, 36.5, 36.0, 37.0, 37.0,
39.0, 39.0, 39.0, 40.0, 40.0, 40.0, 40.0, 42.0, 43.0, 43.0, 43.5,
44.0])
perch_weight = np.array([5.9, 32.0, 40.0, 51.5, 70.0, 100.0, 78.0, 80.0, 85.0, 85.0, 110.0,
115.0, 125.0, 130.0, 120.0, 120.0, 130.0, 135.0, 110.0, 130.0,
150.0, 145.0, 150.0, 170.0, 225.0, 145.0, 188.0, 180.0, 197.0,
218.0, 300.0, 260.0, 265.0, 250.0, 250.0, 300.0, 320.0, 514.0,
556.0, 840.0, 685.0, 700.0, 700.0, 690.0, 900.0, 650.0, 820.0,
850.0, 900.0, 1015.0, 820.0, 1100.0, 1000.0, 1100.0, 1000.0,
1000.0])
현재 수치만으로는 알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산점도를 통한 시각화를 이용해 데이터의 특징을 살펴봅시다.
# 데이터의 특성을 보기 위해 산점도 그리기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plt.scatter(perch_length, perch_weight)
plt.xlabel('length')
plt.ylabel('weight')
plt.show()
위 그래프를 통하여 농어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무게도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모델에 학습시키기 위하여 학습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로 데이터를 나눕니다.
# 훈련 세트와 테스트 세트로 데이터 세트 나누기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train_input, test_input, train_target, test_target = train_test_split(perch_length, perch_weight, random_state=42)
현재 학습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는 모두 1차원 배열이므로 sklearn의 모델에 학습시키기 위해 2차원 배열로 변횐해주어여 합니다.
#1차원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
train_input = train_input.reshape(-1, 1)
test_input = test_input.reshape(-1, 1)
reshape 메서드에 관하여
첫번째 파라미터는 행에 관한 파라미터로 -1로 설정이 1차원 배열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됩니다.
두번째 파라미터는 열에 관한 파라미터로 1로 설정이 열이 하나인 2차원 배열이 생성됩니다.
학습및 평가
k최근접 이웃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과 예측을 진행합니다.
k최근접 이웃 회귀 알고리즘이란?
회귀란 분류와는 다르게 수치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k최근접 이웃 회귀는 가까운 샘플을 k개 선택하고 해당 샘플들의 타겟값의 평균으로 값을 예측합니다.
# 모델 학습
from sklearn.neighbors import KNeighborsRegressor
knr = KNeighborsRegressor()
knr.fit(train_input, train_target)
knr.score(test_input, test_target)
# 오차 측정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absolute_error
test_prediction = knr.predict(test_input)
mae = mean_absolute_error(test_target, test_prediction)
print(mae)
#mae 값은 19.157142857142862로 출력됨
최근접 이웃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평균적으로 오차가 어느정도 나는지 알기 위하여 mean_absolute_error를 이용해 오차를 구해봅시다.
mean_absolute_error는 예측의 절댓값 오차로 실제 정답과 예측값들의 오차를 절댓값한 후 평균을 내서 구합니다.
화면에 출력된 수를 통해 평균적으로 19g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대적합과 과소적합
들어가기에 앞서 과대적합과 과소적합이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과대적합이란?
모델이 테스트 세트에 비해 훈련 세트에 너무 적합하게 학습하여
훈련 데이터의 점수가 테스트 데이터의 점수에 비해 높은 것
과소적합이란?
모델의 테스트 데이터 점수가 훈련 데이터의 점수보다 높거나
두 점수가 모두 낮은 경우
knr.score(test_input, test_target)
# 0.992809406101064
knr.score(train_input, train_target)
# 0.9698823289099254
현재 테스트 데이터의 점수가 더 높으므로 과소 적합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회귀의 평가 점수 원리
회귀 알고리즘인 경우 평가 점수를 결정계수라고 합니다.
결정 계수 수식 1 - (target - predict) ** 2 / (target - mean) ** 2
과소적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 데이터의 개수를 줄여 이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 참고 객체의 수 조절
knr.n_neighbors = 3
knr.fit(train_input, train_target)
print(knr.score(train_input, train_target))
print(knr.score(test_input, test_target))
# 0.9804899950518966
# 0.9746459963987609
k값을 줄이므로써 훈련 데이터의 점수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테스트 데이터의 점수도 조절이 되어 과소 적합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3-2 선형 회귀
주제: 선형회귀 알고리즘을 통한 농어 무게 예측
목차
1. k최근접 이웃의 한계
2. 선형 회귀
3. 다항 회귀
k최근접 이웃의 한계
k최근접 이웃 모델을 활용하여 길이가 50cm인 농어의 무게를 예측해 봅시다.
print(knr.predict([[50]]))
# 약 1033이 출력됨
#오류를 보기 위해 산점도로 시각화
distances, indexes = knr.kneighbors([[50]])
plt.scatter(train_input, train_target)
plt.scatter(train_input[indexes], train_target[indexes], marker = 'D')
plt.scatter(50, 1033, marker = '^')
plt.show()
print(np.mean(train_target[indexes]))
위 모델이 예측한 50cm 농어를 그래프 상에 표시해 봅시다.
해당 그래프의 추이로 보았을때 길이가 50이면 1033보다 더 높은 값이 나오 우측 최상단에 점이 존재해야 할 거 같습니다.
오류를 좀더 정확하게 알아보기 위해 이번에는 100cm 농어를 예측해 봅시다.
#오류를 보기 위해 산점도로 시각화
distances, indexes = knr.kneighbors([[100]])
plt.scatter(train_input, train_target)
plt.scatter(train_input[indexes], train_target[indexes], marker = 'D')
plt.scatter(100, knr.predict([[100]]), marker = '^')
plt.show()
print(np.mean(train_target[indexes]))
# 길이가 증가해도 예측값이 변하지 않는 문제 발견
길이가 100cm인 상황에서도 똑같이 1033으로 예측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k최근접 이웃 회귀는 주변 샘플의 타겟의 평균으로 예측을 하기 때문에
예측하고 싶은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보다 크거나 작으면 항상 같은 값을 참고해 평균을 내어 발생합니다.
선형회귀
이러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그래프를 찾는 직선을 찾는 선형회귀를 이용합시다.
# 선형회귀를 사용하여 문제 해결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inearRegression
lr = LinearRegression()
lr.fit(train_input, train_target)
print(lr.predict([[50]]))
#[1241.83860323]이 출력됨
k최근접 이웃 회귀와는 달리 1241이 출력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선형회귀 모델이 학습한 직선을 그려보고 해당 값이 어떻게 나왔는지 살펴봅시다.
# 선형회귀 모델의 모델 파라미터 구하기
print(lr.coef_, lr.intercept_)
# 선형회귀 그래프 그려보기
plt.scatter(train_input, train_target)
plt.plot([15, 50], [15*lr.coef_+lr.intercept_, 50*lr.coef_+lr.intercept_])
plt.scatter(50, 1241.8, marker = '^')
plt.show()
여기서 모델 파라미터란 직선의 계수를 의미합니다.
coef_는 변수의 계수를 의미합니다.
intercept_는 y 절편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산점도 위에 예측 데이터, 학습 데이터, 직선을 표시하였습니다.
위 직선이 선형 회귀 알고리즘이 찾은 최적의 직선입니다.
이제 해당 모델의 점수를 측정해 봅시다.
# 스코어 확인
print(lr.score(train_input, train_target))
print(lr.score(test_input, test_target))
#0.939846333997604
#0.8247503123313558
테스트 데이터의 점수가 낮게 나오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길이가 작을때 농어의 무게를 음수로 예측하는 직선 때문에 발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다항 회귀
해당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직선 대신 곡선을 이용하면 됩니다.
곡선의 방정식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훈련 데이터의 2열에 길이의 제곱에 관한 데이터를 추가합시다.
이후 그래프 위에 곡선을 표시하여 시각화를 진행합니다.
# 그래프의 왼쪽 아래는 음수가 되는 오류 발견 - 곡선 그래프로 변경
train_poly = np.column_stack((train_input ** 2, train_input))
test_poly = np.column_stack((test_input ** 2, test_input))
lr.fit(train_poly, train_target)
print(lr.predict([[50 ** 2, 50]]))
# 위 곡선 시각화
point = np.arange(15, 50) # 구간별 직선을 그리기 위해 15에서 49까지 정수 배열 제작
plt.scatter(train_input, train_target)
plt.plot(point, 1.01*point**2 - 21.6*point + 116.05)
plt.scatter([50], [1574], marker = '^')
plt.show()
앞선 단순 직선 그래프에 비해 데이터 특성을 더 잘 반영하는 곡선 그래프가 그려졌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과소적합이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모델을 조금 더 복잡하게 만들어 해당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3-3 특성 공학과 규제
주제: 특성 공학을 이용해 모델을 더 복잡하게 만들고 규제를 통해 모델을 조절
목차
1. 다중 회귀
2. 규제
다중 회귀
위에서는 하나의 특성을 사용하여 선형 회귀 모델을 훈련시켰습니다.
이때 여러 개의 특성을 사용한 선형 회귀를 다중 회귀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특성 공학이 이용될 수 있습니다.
특성 공학이란?
기존의 여러 특성을 조합하여 새로운 특성을 만드는 것
이제 농어의 길이, 두께, 높이 총 3가지 특성을 활용해 다중 회귀를 진행해 봅시다.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bit.ly/perch_csv')
perch_full = df.to_numpy()
# 판다스를 이용해 csv 파일 읽고 넘파이 배열 형식으로 변경
#데이터 세트 나누기
train_input, test_input, train_target, test_target = train_test_split(perch_full, perch_weight, random_state = 42)
#특성 공학을 이용해 여러 특성 제작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PolynomialFeatures # 파라미터로 주어진 특성들을 이용해 더 많은 특성을 만들어줌
poly = PolynomialFeatures(include_bias=False) # 절편에 대한 특성을 삭제
poly.fit(train_input) #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 학습
train_poly = poly.transform(train_input) # 학습된 모델을 이용해 새로운 특성 제작
test_poly = poly.transform(test_input)
PolynomialFeatures 클래스는 사이킷런에서 제공하는 변환기로 기존 특성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특성들을 만들어 줍니다.
이제 여러 특성들을 활용하여 다중 회귀 모델에 학습을 시킨 후 평가를 진행합시다.
# 모델 훈련 시키기
lr.fit(train_poly, train_target)
print(lr.score(train_poly, train_target))
print(lr.score(test_poly, test_target))
#0.9903183436982125
#0.9714559911594111
평가 점수가 이전에 비해 오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특성의 수를 늘려 학습과 평가를 진행해봅시다.
# 방정식에 항을 추가해서 훈련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 올리기
poly = PolynomialFeatures(degree=5 ,include_bias=False)
poly.fit(train_input)
train_poly = poly.transform(train_input)
test_poly = poly.transform(test_input)
lr.fit(train_poly, train_target)
print(lr.score(train_poly, train_target))
print(lr.score(test_poly, test_target))
# 0.9999999999996433
# -144.40579436844948
# 너무 과대적합 되었으므로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점수는 음수가 나오는 오류 발생
여기서 degree 파라미터의 값을 조절하여 특성의 수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degree = 5로 설정하게 되면 기존 특성의 5제곱까지의 특성이 추가됩니다.
하지만 특성이 너무 많아 훈련 세트에 과대 적합되어 테스트 세트의 정확도가
너무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성을 줄이는 규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규제
규제란?
규제는 머신러닝 모델이 훈련 세트를 너무 과도하게 학습하지 못하도록 훼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형회귀 모델의 경우 특서엥 곱해지는 계수를 작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제 규제를 통해 과대 적합 문제를 해결해 봅시다.
하지만 규제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특성의 스케일을 조절해야 합니다.
스케일을 조절하는 이유
스케일이 정규화 되지 않으면 곱해지는 값의 크기가 다릅니다.
따라서 규제 적용시 계수 값의 크기가 서로 많이 다르면 공정하게 제어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제 정규화 진행후 규제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 정규화 변환기 임포트
ss = StandardScaler()
ss.fit(train_poly)
train_scaled = ss.transform(train_poly)
test_scaled = ss.transform(test_poly)
# 릿지를 통한 규제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Ridge
ridge = Ridge()
ridge.fit(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ridge.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ridge.score(test_scaled, test_target))
사이킷런에 있는 대표적인 규제 모델로는 릿지와 라쏘가 있습니다.
위 코드는 릿지를 이용한 규제입니다.
릿지와 라쏘 모델은 알파값을 조절해주어 규제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최적의 알파값을 찾기위해 반복문을 통해 각 알파값에 해당하는 점수 그래프를 그려보았습니다.
# 릿지 모델의 규제 강도 조정
# 알파 값을 조절하여 강도 조절가능, 이때 알파값의 변화에 따른 그래프를 그려보면 최적의 알파 값을 찾을 수 있다.
train_score = []
test_score = []
alpha_list = [0.001, 0.01, 0.1, 1, 10, 100]
for alpha in alpha_list:
ridge = Ridge(alpha = alpha)
ridge.fit(train_scaled, train_target)
train_score.append(ridge.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test_score.append(ridge.score(test_scaled, test_target))
# 그래프를 통해 최적의 알파 값 찾기
plt.plot(np.log10(alpha_list), train_score)
plt.plot(np.log10(alpha_list), test_score)
plt.show()
해당 그래프를 보면 알파값이 0.1일때 점수가 높은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파값을 0.1로 설정후 학습을 진행시킵시다.
ridge = Ridge(alpha = 0.1)
ridge.fit(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ridge.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ridge.score(test_scaled, test_target))
# 0.9903815817570367
# 0.9827976465386928
학습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에 대해 점수가 높게 나옴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라쏘 모델을 통해 위와 같은 과정을 진행해보겠습니다.
# 라쏘 이용하기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asso
lasso = Lasso()
lasso.fit(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lasso.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lasso.score(test_scaled, test_target))
# 최적의 알파 값 찾기
train_score = []
test_score = []
alpha_list = [0.001, 0.01, 0.1, 1, 10 , 100 ]
for alpha in alpha_list:
lasso = Lasso(alpha = alpha, max_iter = 10000)
lasso.fit(train_scaled, train_target)
train_score.append(lasso.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test_score.append(lasso.score(test_scaled, test_target))
plt.plot(np.log10(alpha_list), train_score)
plt.plot(np.log10(alpha_list), test_score)
plt.show()
해당 그래프를 살펴보면 알파값이 10일때 점수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asso = Lasso(alpha = 10)
lasso.fit(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lasso.score(train_scaled, train_target))
print(lasso.score(test_scaled, test_target))
# 라쏘가 0으로 만든 계수 찾기
print(np.sum(lasso.coef_ == 0))
# 결과
# 0.9888067471131867
# 0.9824470598706695
# 40
학습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에 대해 점수가 높게 나옴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라쏘 모델은 특성의 계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oef_ == 0인 데이터의 수를 알아보니 40개의 특성의 계수를 0으로 설정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40개의 특성이 필요하지 않았다는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